[스크랩] 한국의 명화들(조선후기) 작가 : 신윤복(申潤福) 아호 : 혜원(蕙園) 제목 : 연당의 여인(蓮塘의女人) 언제 : 18세기 중엽 ~ 19세기 초 재료 : 비단에 수묵담채 규격 : 29.6 x 24.8cm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 도회적인 멋을 풍기는 기생의 옷매무시는. 혜원의 풍속화를 통해서 많이 보아 왔다. 사실 혜원만큼 시정(市井) 남녀간의 애.. ART 2008.01.02
[스크랩] 한국 미술사 요약 개요 한국 민족의 미술활동은 신석기시대 후기 무렵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불교가 전래된 4세기 말경부터이다. 한국 민족은 한민족(漢民族)과 다른 퉁구스족이므로 뿌리 깊은 북방계 계통을 추구하고 있었지만 삼국시대(三國時代) 초기의 불교전래와 거기에 잇따른 중국문화의 유입은 .. ART 2008.01.02
[스크랩] 그림으로 읽는 현대(3)-야수파, 감정의 원근법 이택광의 그림으로 읽는 현대 <3> 야수파, 감정의 원근법 마티스 색채는 선입견을 벗고 정서를 표현하기 시작 여섯빛깔 문화이야기 앙리 마티스의 '콜리우르를 향해 열린 창문'. 천박한 것이라고 비난받기도 했지만, 산업화는 그 비난에 대한 대가로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교통과 통신이 발달했.. ART 2008.01.02
[스크랩] 그림으로 읽는 현대(4)-피카소가 달랐던 이유 이택광의 그림으로 읽는 현대 <4> 피카소가 달랐던 이유 묘사와 감정을 제거하면서 창작의 출로를 찾았다 여섯빛깔 문화이야기 앙리 마티스의 작품 '삶의 기쁨' 큐비즘에 이르러 그림은 더 이상 자연과 관계없는 것이 되었다. 인상파조차도 그림은 자연을 더 섬세하게 그리는 작업이었다. 그런데 .. ART 2008.01.02
[스크랩] 김연아 07 GPF 갈라 앵콜 (러시아TV) (2007 그랑프리 파이널 EX) 저터걸 공연 중에 제일 맘에 드는데 발카메라때문에 ㅠ.ㅠ 김연아 선수,볼때마다 뿌듯 ART 2007.12.20
[스크랩] 자랑스러운 김연아 피겨 하이라이트(국악버젼) 자랑스런 김연아... 피겨스케이팅 이라는 낯선 스포츠를 감동으로 볼수있게해준 은인... 근데, 지금도 풀리지않는 유치한 궁금증하나... 음악은 왜 항상 클래식아니면 외국곡일까??? 경기규칙에 있는걸까??? 아무튼, 조심 아주 아주 조심스런 실험정신을 발휘하여, 우리음악에다가 감히 김연아 선수의 .. ART 2007.12.20
[스크랩] James Tissot(1836-1902:French Painter) ★ James Tissot(1836-1902:French Painter) ★ Tissot was born at Nantes. He studied at the Ecole des Beaux Arts in Paris under Ingres, Flandrin and Lamothe, and exhibited in the Paris Salon for the first time at the age of twenty- three. In 1861 he showed The Meeting of Faust and Marguerite, which was purchased by the state for the Luxembourg Gallery. His first characteristic period made him a.. ART 2007.12.08
[스크랩] 오르세미술관(Musee d`Orsay)展 - <만종>과 거장들의 영혼(1) Musee d'Orsay展 Seoul-Korea, 2007 오르세미술관(Musee d'Orsay)은 본래 기차역이었던 루브르박물관과 마주 보는 건물이었다. 오르세미술관의 전신 '오르세 역(驛)'은 파리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시내 중심지의 열차 종착역으로 건설되었다. 파리국립미술학교 건축학 교수였던 빅토르 랄루의 설계로, 본래 오르세 .. ART 2007.12.08
[스크랩] 오르세미술관(Musee d`Orsay)展 - <만종>과 거장들의 영혼(2) Musee d'Orsay展 Seoul-Korea, 2007 Le Vase Bleu(푸른 화병), 1889-90 by 폴 세잔(Paul Cezanne1839-1906:Post-Impressionnism) 이 정물화는 폴 세잔의 1880년대 말 작품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공들여 그린 작품 가운데 하나로, 서로 다른 요소들을 능숙하게 배치했다는 점에서 그의 1870년대 작품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이 작품.. ART 2007.12.08
[스크랩] 오르세미술관(Musee d`Orsay)展 - 19세기 사진과 회화의 특별한 만남 ★ 오르세미술관(Musee d'Orsay)展 - 19세기 사진과 회화의 특별한 만남 ★ 파리, 1865 선 원근법의 촬영 건축물 사진 Charles Mavile 사진이 처음 만들어진 시점에서 사진술은 회화의 획기적인 신기술이었다. 사진술이라는 발명품은 당시 회화가 지향했던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까운 그림 그리기'를 실현함으로써.. ART 2007.12.08
[스크랩] 비엔나미술사박물관展:합스부르크 왕가 컬렉션(1)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展 Seoul-Korea, 2007 1452년 프리드리히 3세(Frederick III, Holy Roman Emperor:1415-1493)가 신성로마제국 의 황제가 된 후 700년간 유럽을 지배했던 황제의 도시 오스트리아의 비엔나(Vienna). 비엔나가 자랑하는 16~18세기 서양미술사 걸작들이 서울에 왔다. 유럽 최고의 명문가 합스부르크(Habsburg) .. ART 2007.12.08
[스크랩] 비엔나미술사박물관展:합스부르크 왕가 컬렉션(2)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展 Seoul-Korea, 2007 Infanta Margarita Margarita Teres(1651-1673), c.1656 흰 옷의 어린 왕녀 마르가리타 테레사 벨라스케스(Diego Velazquez:1599-1660, Baroque Spanish Painter) Section 4: 황제 레오폴트 1세(Emperor Leopold I:1640-1705) Emperor Leopold I, 1701(미전시 작품) 레오폴트 1세는 신성로마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 ART 2007.12.08
[스크랩] = 아름다운 다리들2(한국)/ 사진 = 부산 광안대교 부산 광안대교 부산 광안대교 부산대교 삼천포대교 삼천포대교 삼천포대교 삼천포대교 삼천포대교 한강대교 한강철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청담대교 광진교 서해대교 서해대교 선유대교 (선유도 다리) 선유대교 (선유도 다리) .. ART 2007.11.28